이치카와 라이조 (8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치카와 라이조 (8대)는 일본의 배우로, 가부키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했다. 1931년 교토에서 태어났으며, 생애 동안 여러 예명과 본명을 사용했다. 1954년 다이에이 영화에 입사하여 영화 데뷔 후, 《신 헤이케 이야기》, 《염상》, 《네무리 쿄시로》 시리즈 등에서 주연을 맡아 인기를 얻었다. 그는 1958년 《염상》으로 키네마 준보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1963년부터 시작된 《네무리 쿄시로》 시리즈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1968년 직장암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하다가, 1969년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부키 배우 - 카가와 테루유키
카가와 테루유키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부키 배우로, 영화 《쓰루기다케 산》으로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드라마 《한자와 나오키》에 출연하여 인기를 얻었고, 9대 이치카와 츄샤를 습명하여 가부키 배우로도 활동했다. - 가부키 배우 - 오노에 마츠노스케
오노에 마츠노스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하며 일본 영화계 최초의 슈퍼스타로 불린 가부키 배우 출신의 영화배우로, 마키노 쇼조와 협력하여 시대극과 닌자 영화를 개척하고 큰 눈과 뛰어난 연기력으로 어린이들에게 특히 인기를 얻었으나, 간토 대지진과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대부분의 필름이 유실되어 현재는 극소수의 작품만 남아있다. - 일본의 남자 연극 배우 - 아베 사다오
아베 사다오는 일본의 배우이자 록 밴드 그룹 타마시이의 보컬로 활동하는 뮤지션으로, 극단 오토나케이카쿠에 입단하여 연극 무대에 데뷔한 후 영화,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남자 연극 배우 - 야나카 히로시
일본의 성우이자 배우인 야나카 히로시는 메이지 대학 졸업 후 극단 청년좌를 거쳐 아프트프로에 소속되어 애니메이션, 게임, 외화 더빙,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외화 더빙에서는 존 쿠삭의 전담 성우, 애니메이션에서는 개성 강한 캐릭터 연기로 알려져 있다. - 교토시 출신 - 유키노 사츠키
1992년 데뷔한 일본의 성우 유키노 사츠키는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CD, 내레이션,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0년부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여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교토시 출신 - 서준식
서준식은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회안전법 폐지 운동을 전개했으며, 《서준식 옥중 서한》을 출간하고 사회주의자임을 선언한 인물이다.
이치카와 라이조 (8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타 요시야 |
출생명 | 가메자키 아키오 |
이전 본명 | 다케우치 요시오 |
다른 이름 | 이치카와 구단지 3세 이치카와 엔조 |
출생일 | 1931년 8월 29일 |
출생지 | 교토 |
사망일 | 1969년 7월 17일 |
사망지 | 도쿄 |
직업 | 영화 배우 가부키 배우 |
활동 기간 | 1954년–1969년 |
야호 | 마스다야 |
정문 | 삼승 안에 번개 |
가족 | |
아버지 | 이치카와 구단지 3세(양아버지) 이치카와 주카이 3세(양아버지) |
배우자 | 오타 마사코 (나가타 마사이치 양녀) |
대표작 | |
시대극 | 신・헤이케 이야기 젖은 머리 시리즈 (5작) 벤텐코조 대보살 고개 시리즈 (3작) 닌자의 자 시리즈 (8작) 잠자는 쿄시로 시리즈 (12작) 화오카 세이슈의 아내 |
현대극 | 불타다 본치 젊은 두목 시리즈 (8작) 육군 나카노 학교 시리즈 (5작) 어느 살인 청부업자 시리즈 (2작) |
수상 내역 | |
블루리본상 | 주연 남우상 1958년 불타다, 벤텐코조 |
기타 수상 | 키네마 준보 주연 남우상 수상 1958년: 불타다 1967년: 화오카 세이슈의 아내, 어느 살인 청부업자 NHK 영화 최우수 주연 남우상 1958년: 불타다 1967년: 화오카 세이슈의 아내 이탈리아 『시네마 누오보』지 최우수 남우상 1958년: 불타다 |
2. 생애
그의 생애 동안 예명과 본명이 여러 번 바뀌었기 때문에, 본문에서 이 인물을 지칭할 때는 원칙적으로 '''라이조'''로 통일한다.
2. 1. 탄생 및 입양 (1931년 8월 ~ 1951년 6월)
'''이치카와 라이조'''는 1931년(쇼와 6년) 8월 29일, 교토부 교토시 나카교구 니시키야마치 가미야마치에서 태어났다. 출생 당시 이름은 카메자키 아키오(亀崎 章雄)였다.[2][124]생후 6개월 때 백부이자 가부키 배우였던 3대 이치카와 구단지의 양자가 되어, 본명을 타케우치 요시오(武内 嘉雄)로 개명했다.[2][124] 영화 평론가 다야마 리키야에 따르면, 라이조가 양자로 가게 된 경위는 다음과 같다. 라이조의 어머니가 임신했을 때, 라이조의 아버지는 육군 幹部候補生|간부 후보생일본어으로서 나라현으로 전근하여 어머니를 아버지의 본가에 남겨두었다. 그러나 어머니는 시댁 식구들에게 괴롭힘을 당했고, 남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무시당했다. 결국 참다못한 어머니는 친정으로 돌아가 라이조를 낳았다.[3][4][125][126] 부모의 사이는 이미 틀어졌고, 어머니는 혼자 라이조를 키울 생각이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의 의형(義兄)이었던 3대 이치카와 구단지가 라이조를 양자로 달라고 여러 차례 간청했다. 어머니는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결국 받아들여, 라이조는 생후 6개월에 구단지의 양자가 되었다.[5][4][127][126] 라이조 자신이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은 16세 때였고[6][128], 친어머니와 만난 것은 30세가 넘어서였다.[6][129]
3대 이치카와 구단지의 양자가 된 지 약 2년 후인 1934년, 라이조는 교토에서 오사카로 이사했다. 양부 구단지는 어린 라이조에게 가부키 배우 수업을 시키지 않았으나[130], 라이조는 1946년, 중학교 3학년 때 오사카부립 텐노지 중학교(현재의 오사카부립 텐노지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가부키 배우의 길을 선택했다.[132][133] 가부키 배우가 된 경위에 대해 라이조 자신은, 중학교를 그만두고 집에서 지내는 동안 연예계에 흥미를 느껴 가부키 배우가 되었다고 말하기도 했고[131], 원래는 해군 장교나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근시 때문에 해군 장교의 길을 포기했고, 결국 의사가 되는 것도 포기했다고도 한다.[132][133]
1946년 11월, 15세의 나이로 오사카 가부키좌에서 열린 '동서 합동 대가부키' 공연 중 '나카야마 시치리'에서 딸 오하나 역을 맡아 첫 무대에 섰다. 이때 양부 3대 이치카와 구단지의 옛 이름[134]인 이치카와 엔조(市川 莚蔵)를 2대째로서 이어받아 사용했다.[135]
첫 무대로부터 약 2년 반이 지난 1949년 5월에는 아라시 코이쇼(嵐 小意祥, 훗날 8대 아라시 키치사부로, 영화배우 기타가미 야타로)나 2대 나카무라 타로 등과 함께 젊은 배우들의 공부 모임인 '츠쿠시회'(つくし会)를 결성하여 연기 연습에 매진했다.[124] 그러나 양부 구단지는 교토 시의회 의원의 아들로 태어나 가부키 배우를 동경하여 2대 이치카와 사단지의 제자가 된, 소위 문하생 출신 배우였다.[136] 가부키 명문가 출신이 아니었던 구단지는 가미가타(上方) 가부키에서 조역 전문 배우에 머물렀고, 라이조는 이러한 양부의 배경 때문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2. 2. 가부키 배우 시절 (1934년 ~ 1954년)
1934년, 양부 3대 이치카와 구단지에게 입양된 지 약 2년 후, 라이조는 교토에서 오사카로 이주했다.[7][130] 양부 구단지는 어린 시절 라이조에게 가부키 배우 수업을 시키지는 않았지만,[7][130] 1946년 오사카부립 텐노지 중학교(현재의 오사카부립 텐노지 고등학교) 3학년 때 학업을 중단하고 가부키 배우의 길을 선택했다.[8][9][10][132][133]1946년 11월, 15세의 나이로 오사카 가부키좌에서 '''3대 이치카와 엔조'''(三代目 市川 莚蔵일본어)라는 이름으로 가부키 무대에 데뷔했다.[11][12] 이는 양부 구단지가 이전에 사용했던 이름(2대 이치카와 엔조)을 계승한 것이었다.[134] 그의 첫 역할은 《나카야마 시치리》의 딸 오하나 역이었다.[135]
데뷔 2년여 후인 1949년 5월, 라이조는 젊은 가부키 배우 아라시 리쇼(훗날 8대 아라시 키치사부로, 영화배우 키타가미 야타로) 및 2대 나카무라 타로와 함께 공부 모임인 츠쿠시카이|つくし会일본어를 결성하여 연기 연습에 매진했다.[2][124] 그러나 양부 구단지는 가부키 명문가 출신이 아닌 교토 시의원의 아들로, 2대 이치카와 사단지의 제자로 입문한 '몬테이아가리'(門弟上がり일본어, 문하생 출신) 배우였다.[13][136] 이러한 배경 때문에 구단지는 조역에 머물렀고, 그의 아들인 라이조 역시 가부키계의 혈연 중심적 관행 속에서 주요 배역을 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3]

1949년 무렵, 연출가 타케치 테츠지는 실력 있는 젊은 배우들을 기용하여 '타케치 가부키'를 상연하기 시작했다.[137][124] 츠쿠시카이가 타케치 가부키에 참여하면서[124] 타케치는 라이조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지만, 양부의 배경 때문에 라이조가 성공하기 어려울 것을 우려했다.[138] 타케치는 라이조에게 오사카 가부키의 명가인 나카무라 자쿠에몬 가문을 잇게 하려 했으나, 3대 나카무라 자쿠에몬의 미망인이 라이조가 권문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하여 무산되었다.[139][138]
이후 타케치는 자녀가 없던 3대 이치카와 주단지가 양자를 원한다는 것을 알고 이를 추진했다.[140] 1950년 12월, 주단지는 츠쿠시카이 공연에서 《수선사 이야기》의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역을 연기한 라이조를 높이 평가했다.[124] 주단지 역시 가부키와 무관한 집안 출신이었으나 간사이 가부키의 중진으로 성장한 인물이었고,[141] 7대 및 9대 단주로와 연관된 '주단지'(寿海일본어)라는 이름과 이치카와 종가의 야호 '나리타야', 정문 '주단지 에비' 사용을 허락받은 상태였다.[142][143][144] 타케치의 노력으로 1951년 4월, 라이조는 주단지의 양자가 되었다.[145][148][149]
주단지는 라이조에게 이치카와 종가와 관련된 유서 깊은 이름인 '이치카와 신조'를 잇게 하고 싶어했지만, 당시 종가를 대표하던 2대 이치카와 엔노스케(초대 엔오)가 "어디서 굴러온지 모르는 배우"라며 강하게 반대했다.[146] 결국 협상을 통해 '이치카와 라이조'라는 이름을 잇기로 결정되었다.[147] 같은 해 6월, 오사카 가부키좌에서 '''8대 이치카와 라이조''' 습명 피로연(襲名披露興行일본어)이 열렸다.[148][149] 양자 결연과 함께 라이조는 본명을 '''오타 요시야'''(太田 吉哉일본어)로 개명했는데, 이는 성명학에 관심이 많았던 라이조 본인이 직접 지은 이름이었다.[148][149][151] 한편, 영화 감독 이케히로 카즈오는 3대 이치카와 주단지가 라이조의 친아버지일 수 있다는 소문이 당시 있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50]
2. 3. 영화 배우 전향 및 전성기 (1954년 ~ 1968년 5월)
1951년 주카이의 양자가 되었지만, 라이조는 젊다는 이유로 좋은 역할을 받지 못했다.[153] 이에 불만을 느끼던 중, 1954년 6월 오사카 가부키자에서 공연된 高野聖|고야 히지리일본어에서 대사 없는 백치 역을 맡게 되자 가부키계를 떠나기로 결심했다.[156] 마침 다이에이로부터 시대극 스타로 키우겠다는 제안을 받고 이를 수락하여 1954년 영화 배우로 전향했다.[156][31] 라이조 본인은 전향 동기에 대해 단순히 좋은 기회라 시도해 보고 싶었다고 말하기도 했다.[32][154] 영화 배우가 되기로 한 후, 라이조는 도에이의 시대극 스타 요로즈야 킨노스케의 연기를 연구하기 위해 영화관을 자주 찾았다.[36][158]라이조는 1954년 8월 25일 개봉한 花の白虎隊|꽃의 백호대일본어로 영화 데뷔를 했다.[34] 가부키계에서는 출신 배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간사이 가부키계의 중진인 주카이의 아들이라는 점 때문에 영화계에서는 좋은 대우를 받았다. 다이에이 경영진은 라이조를 인기 배우 하세가와 카즈오의 후계자로 만들고자 했고,[159] 데뷔 후 다섯 번째 작품인 潮来出島 美男剣法|젊은 검객일본어 (1954년 12월 22일 개봉)과 여섯 번째 작품인 次男坊鴉|차남일본어 (1955년 1월 29일 개봉)에서 연이어 주연을 맡겼다.[37][159]
데뷔 2년 차인 1955년, 라이조는 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영화 新・平家物語|신 헤이케 이야기일본어 (1955년 9월 21일 개봉)에서 타이라노 키요모리 역을 맡으며 스타로 발돋움했다.[40] 이 작품을 계기로 라이조에 대한 평가가 달라졌다. 라이조의 영화를 16편 감독한 타나카 토쿠조는 이 영화를 보고 라이조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인상이 바뀌었다고 말했으며,[38][160] 역시 16편을 감독한 이케히로 카즈오는 이전까지 하세가와 카즈오를 모방하는 듯 보였던 라이조가 점차 자신만의 연기력을 보여주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39][161] 영화 평론가 사토 타다오는 라이조가 《신 헤이케 이야기》 이후 단순한 미남 배우를 넘어 격조 높은 비극까지 소화하는 뛰어난 배우로 성장했다고 평했다.[40][162] 이 영화 이후 라이조는 연간 10편 이상의 영화에 출연하며 휴일도 없이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41][168]
라이조는 다리가 약하다는 신체적 약점이 있어 액션 장면 촬영에 어려움을 겪었다.[42][43][163][164] 당시 다이에이 기획부장이었던 츠치다 마사요시는 신체적으로 약한 라이조에게 강인한 키요모리 역을 맡기는 것이 모험이었다고 회고했다.[165] 라이조 자신도 약점을 인지하고 도시샤 대학 스모부에 다니며 훈련하는 등 극복하려 노력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39][161] 촬영 스태프들은 그의 약점이 드러나지 않도록 구도에 신경 써야 했다.[44][45][166][167] 라이조의 영화 18편을 감독한 미스미 겐지에 따르면, 라이조는 처음에는 자신의 약점을 혐오했지만, 이를 받아들이고 극복하려는 자세를 가지면서 오히려 놀라운 평정심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45][167]
영화 배우로 전향한 후 라이조가 가부키 무대에 선 것은 단 한 번으로, 1964년 1월 닛세이 극장 개관 기념 공연으로 타케치 테츠지가 연출한 勧進帳|간진초일본어에서 토가시 사에몬(富樫左衛門) 역을 맡은 것이었다. 이때 라이조는 "가부키는 나이가 들어야 제맛이지만, 영화는 젊을 때 해야 한다. 젊을 때는 영화로 활동하고, 나이가 들면 다시 가부키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35][157]
2. 4. 말년 및 사망 (1968년 6월 ~ 1969년 7월 17일)
이케히로 카즈오에 따르면, 배우로서 경력을 쌓으면서 라이조는 감독보다는 프로듀서로서 영화 제작에 더 깊이 관여하기를 원했다. 그는 소재 선정부터 각본가, 감독, 출연자 결정까지 총괄하는 역할을 지향했다.[183] 1968년 1월, 라이조는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새로운 연극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와 함께 새로운 극단 "테아토로 카부라야" 설립을 추진하며 프로듀서로서 활동을 시작하려 했다. 그러나 극단 설립 직후 병을 얻게 되어(아래 참조), 극단은 실제 활동을 하지 못했다.[184] 라이조의 영화 14편의 각본을 쓴 호시카와 세이지는 라이조가 자신과 미스미 켄지 감독에게 "영화는 그리 오래가지 못할지도 모른다. 언젠가 셋이서 연극을 하자. 새로운 것을 시도해 보자"고 제안했으며, 구체적으로 "가와타케 모쿠아미의 작품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해보자"고 말했다고 회고했다.[185]3. 평가
이치카와 라이조는 평소에는 회사원처럼 보일 정도로 수수하고 눈에 띄지 않는 외모였지만, 촬영을 위해 메이크업을 하면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변모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치카와 곤 감독은 라이조의 본질을 "견고하고 소박함"이라 평하며, 타고난 소박함이 "메이크업으로 어떻게든 변할 수 있다"는 점이 그의 특징이라고 말했다.[215] 이노우에 아키라 감독은 "어, 이게!? 라는 정도로, 메이크업으로 확 변한다"고 회고했으며,[216] 타나카 토쿠조 감독 역시 평소의 온화하고 청결한 분위기와 달리, 촬영에 들어가면 "의연하게 어깨를 펴고, 착실하고 중후하며, 그리고 화려한 연기자로 변모"하는 모습에 놀랐다고 술회했다.[216] 각본가 시라사카 요시오는 라이조가 스크린에 등장하면 "밝음 속에, 허무와 약간의 향수를 머금은 웅장하고, 아름다운 청년 스타"로 변모한다고 평했다.[219] 이러한 변신 능력 때문에 사생활에서의 라이조는 팬들은 물론 업계 관계자들조차 쉽게 알아보지 못했다고 한다.[218]
라이조는 동갑내기이자 같은 시기에 다이에이에 입사한 가쓰 신타로와 자주 비교되었다. 두 사람은 "캇츠라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228] 다이에이의 투 톱 스타로 활약했지만, 외모나 연기 스타일 면에서 대조적이었기에 라이벌 관계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캇쨩", "라이짱"이라고 부를 정도로 친밀한 사이였으며,[224] 라이조는 가쓰의 아내인 나카무라 타마오와도 어릴 적부터 교류가 있었다.[229] 작가 무라마츠 토모미는 가부키계에서 정통적인 길을 걷지 못했던 두 사람 모두에게 "일종의 콤플렉스가,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로서 있었다"고 지적하며, 이것이 두 배우의 에너지가 된 유사한 요소라고 분석했다.[231] 성격 면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이케히로 카즈오 감독에 따르면 가쓰는 싫어하는 사람과도 잘 지내는 편이었지만, 라이조는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단호한 태도를 보였으며 특히 일 처리가 엉성한 사람을 싫어했다고 한다.[150] 영화 스태프들과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미술 감독 니시오카 요시노부는 가쓰가 주로 배우나 회사 윗사람들과 어울린 반면, 라이조는 제작 스태프나 젊은이들과 교류하는 타입이었다고 회고했다.[242] 다나카 토쿠조 감독 역시 라이조가 스태프들에게 매우 친절했으며 종종 자택에 초대하기도 했다고 언급했다.[243]
라이조 사후 5년 뒤인 1974년에는 팬클럽 '라이조카이(雷蔵会)'가 결성되어 2019년 현재까지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198] 다이에이 교토 촬영소의 마츠바라 마사키는 라이조의 팬층이 그의 연기와 인간성에 매료된 지적인 여성들이 많았으며, 단순히 소리를 지르며 열광하는 팬들과는 달랐다고 회고했다.[199] 그의 기일인 7월 17일을 전후하여 교토에서는 '이치카와 라이조 영화제'가 열려 그의 작품을 상영하는 것이 연례행사가 되었다.[200][201]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사후 40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회고전 '대 라이조제'가 열리기도 했다.[202][203]
2000년 키네마 준보가 선정한 "20세기의 영화 스타 · 일본 남자 배우" 부문에서 6위를 차지했으며, 독자 선정 부문에서는 7위에 올랐다. 2014년 같은 잡지에서 발표한 "올 타임 베스트 일본 영화 배우" 남자 배우 부문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204]
3. 1. 연기 스타일
각본가 후지 야히로는 라이조의 인품에 대해 "누구에게나, 거만하지 않고, 흥분하지 않고, 항상 예의 바르다"고 평하며, 이러한 성격이 연기에도 반영되었다고 보았다. 야히로는 "수많은 시대극 배우 중에서도, 이제 그처럼, 흠 잡을 데 없는, 좋은 의미에서의, 진짜 무사다운 무사가 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평가했다.[209]이케히로 카즈오 감독은 라이조의 성장 배경이 배우로서의 그에게 "비정한 그림자"를 드리웠으며, 그 결과 인생의 어두운 면, 본질적인 부분이 드러났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것이 단순히 드러난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표출되었다고 덧붙였다.[150] 라이조와 가장 많은 작품을 함께한 모리 카즈오 감독은 라이조가 자신이 안고 있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은 인간적인 고통"을 견디며, 연기로 승화시켰다고 말했다.[210] 모리 감독은 영화 평론가 야마네 사다오와의 대담에서 라이조에게 "상쾌한 슬픔이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야마네는 "비극을 연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단지 어둡고 우울한 것이 아니라, 어딘가 시원한 면이 있다. 슬픔과 상쾌함을 겸비한 배우는 라이조 외에는 없다"고 부연 설명했다.[210]
사토 타다오는 라이조의 연기가 시대극, 현대극을 불문하고 "얼마나 비참한 역할이라도,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역할이라도, 그것을 격조 높게 연기함으로써 작품에 기품을 부여했다"고 평했다.[211] 평론가 카와모토 사부로는 라이조 연기의 매력을 "여기에 있으면서 여기에 있지 않다"고 표현하며, "탁한 세상에 있으면서도 항상 시선을 멀리 향하고 있는 투명감"이 있어 "어떻게 보면 느끼한 대사가, 그렇지 않게 된다"고 분석했다.[212]
라이조는 대본이 완성되기 전까지 작품에 대해 여러 의견을 제시하는 편이어서 "ごて雷|고테라이일본어"[232]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지만, 일단 납득하면 불평 없이 촬영에 임했으며 촬영 중 의견을 바꾸는 일은 없었다.[233][234][235] 반면, 동시대 라이벌이었던 가쓰 신타로는 대본 단계에서는 별다른 의견이 없다가 촬영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연기를 바꾸어 스태프를 당황하게 하는 경우가 많았다.[236][237]
이노우에 아키라 감독에 따르면, 라이조는 감독의 연출 의도에 맞춰 역할을 소화할 수 있는 배우였다. 예를 들어 같은 네무리 쿄시로 역할이라도 감독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냈다는 것이다. 반면 가쓰 신타로는 어떤 감독과 작업하든 "자토이치라면 전부 가쓰 신타로의 자토이치"가 되는 스타일이었다고 한다.[238] 스즈키 키세이[239]나 작가 무라마츠 토모미[240]도 비슷한 견해를 보였다. 무라마츠는 가쓰 신타로가 하세가와 카즈오나 카타오카 치에조처럼 어떤 역할을 해도 자신의 이미지가 강하게 드러나는 스타 계보에 속한다면, 라이조는 역할에 따라 다채롭게 변신하는, 일본 영화 스타 중에서는 보기 드문 유형이었다고 분석했다.[240]
스즈키 세이야는 라이조가 어린 시절 가부키에 깊이 몸담지 않아 그 틀에 얽매이지 않았던 점이 영화 배우로서 성공한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보았다. 이는 가부키에서 영화로 전향했다가 다시 가부키 무대로 돌아간 4대 사카타 토쥬로나 4대 나카무라 자쿠에몬의 사례와 비교된다.[213]
4. 가족
1962년 다이에이 영화사 사장 나가타 마사이치의 양녀[205] 나가타 마사코와 비공개 결혼식을 올렸다.[81] 결혼 후 아내 마사코는 라이조의 본명을 따라 오타 마사코가 되었으며, 두 사람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82][206] 라이조는 생전에 아내에게 "나는 내 가족이 대중의 눈에 띄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고,[83][207] 마사코는 남편 사후 40년 동안 인터뷰 요청 등을 거절하며 그 뜻을 지켰다.[84][208] 이후 2009년, 마사코는 분게이슌주 2009년 5월 특별호에 "남편 이치카와 라이조에게 40년 만의 연애편지"라는 제목의 회상기를 발표했다.
5. 출연 작품
이치카와 라이조의 필모그래피는 158편의 영화를 포함한다:[122]
- 1954년: 꽃의 백호대 (원제: 花の白虎隊일본어)
- 1954년: 제니가타 헤이지 체포록 유령 다이묘 (원제: 銭形平次捕物控 幽霊大名일본어)
- 1954년: 센히메 (원제: 千姫일본어)
- 1954년: 오나츠 세이쥬로 (원제: 歌ごよみ お夏清十郎일본어)
- 1954년: 젊은 검객 (원제: 潮来出島 美男剣法일본어)
- 1955년: 차남 까마귀 (원제: 次男坊鴉일본어)
- 1955년: 차남 판관 (원제: 次男坊判官일본어)
- 1955년: 도깨비 베는 젊은 도련님 (원제: 鬼斬り若様일본어)
- 1955년: 장미는 몇 번이나 (원제: 薔薇はいくたびか일본어)
- 1955년: 무희 행장기 (원제: 踊り子行状記일본어)
- 1955년: 줄타기 구경거리 사무라이 (원제: 綱渡り見世物侍일본어)
- 1955년: 신 헤이케 이야기 (원제: 新・平家物語일본어)
- 1955년: 이로하 바야시 (원제: いろは囃子일본어)
- 1955년: 괴도와 판관 (원제: 怪盗と判官일본어)
- 1956년: 꽃의 철새 (원제: 花の渡り鳥일본어)
- 1956년: 마타시로 싸움 여행 (원제: 又四郎喧嘩旅일본어)
- 1956년: 야규 렌야사이: 비전 월영초 (원제: 柳生連也斎 秘伝月影抄일본어)
- 1956년: 아사타로 까마귀 (원제: 浅太郎鴉일본어)
- 1956년: 싸움 원앙 (원제: 喧嘩鴛鴦일본어)
- 1956년: 꽃의 형제 (원제: 花の兄弟일본어)
- 1956년: 하나즈킨 (원제: 花頭巾일본어)
- 1956년: 제니가타 헤이지 체포록 인피 거미 (원제: 銭形平次捕物控 人肌蜘蛛일본어)
- 1956년: 야지키타 도중기 (원제: 弥次喜多道中記일본어)
- 1956년: 츠키가타 한페이타: 꽃의 권, 폭풍의 권 (원제: 月形半平太 花の巻 嵐の巻일본어)
- 1956년: 속 하나즈킨 (원제: 続花頭巾일본어)
- 1956년: 날뛰는 소방수 (원제: あばれ鳶일본어)
- 1956년: 아미가사 곤파치 (원제: 編笠権八일본어)
- 1957년: 오사카 이야기 (원제: 大阪物語일본어)
- 1957년: 주작문 (원제: 朱雀門일본어)
- 1957년: 겐지 이야기 우키후네 (원제: 源氏物語 浮舟일본어)
- 1957년: 29인의 싸움장 (원제: 二十九人の喧嘩状일본어)
- 1957년: 야타로 삿갓 (원제: 弥太郎笠일본어)
- 1957년: 만고로 텐구 (원제: 万五郎天狗일본어)
- 1957년: 이나즈마 가이도 (원제: 稲妻街道일본어)
- 1957년: 나루토 비첩 (원제: 鳴門秘帖일본어)
- 1957년: 오니비 가마 (원제: 鬼火駕籠일본어)
- 1957년: 모모타로 사무라이 (원제: 桃太郎侍일본어)
- 1958년: 츠키히메 계도 (원제: 月姫系図일본어)
- 1958년: 유협 5인 남자 (원제: 遊侠五人男일본어)
- 1958년: 하나타로 주문 (원제: 花太郎呪文일본어)
- 1958년: 충신장 (원제: 忠臣蔵일본어)
- 1958년: 여행은 변덕 바람 따라 (원제: 旅は気まぐれ風まかせ일본어)
- 1958년: 목숨을 거는 남자 (원제: 命を賭ける男일본어)
- 1958년: 일곱 번째 밀사 (원제: 七番目の密使일본어)
- 1958년: 메기츠네 목욕탕 (원제: 女狐風呂일본어)
- 1958년: 인피 공작 (원제: 人肌孔雀일본어)
- 1958년: 염상 (원제: 炎上일본어)
- 1958년: 니치렌과 몽고 대습래 (원제: 日蓮と蒙古大襲来일본어)
- 1958년: 젖은 머리 검법 (원제: 濡れ髪剣法일본어)
- 1958년: 이가의 수월 (원제: 伊賀の水月일본어)
- 1958년: 벤텐 코조 (원제: 弁天小僧일본어)
- 1958년: 바케네코 고요다 (원제: 化け猫御用だ일본어)
- 1959년: 인피 모란 (원제: 人肌牡丹일본어)
- 1959년: 유타로 항담 (원제: 遊太郎巷談일본어)
- 1959년: 뱀 공주님 (원제: 蛇姫様일본어)
- 1959년: 젊은 날의 노부나가 (원제: 若き日の信長일본어)
- 1959년: 오조 키치사 (원제: お嬢吉三일본어)
- 1959년: 야마다 나가마사 왕자의 검 (원제: 山田長政 王者の剣일본어)
- 1959년: 천 마리 학 비첩 (원제: 千羽鶴秘帖일본어)
- 1959년: 지로 나가후지 (원제: 次郎長富士일본어)
- 1959년: 잔 아리마의 습격 (원제: ジャン有馬の襲撃일본어)
- 1959년: 젖은 머리 산도가사 (원제: 濡れ髪三度笠일본어)
- 1959년: 카게로 그림 (원제: かげろう絵図일본어)
- 1959년: 박앵기 (원제: 薄桜記일본어)
- 1959년: 들뜬 산도가사 (원제: 浮かれ三度笠일본어)
- 1959년: 하츠하루 너구리 저택 (원제: 初春狸御殿일본어)
- 1960년: 본치
- 1960년: 오에 산의 요괴
- 1960년: 의협 지로초
- 1960년: 대보살 고개 (원제: 大菩薩峠일본어)
- 1960년: 대보살 고개 용신의 권 (원제: 大菩薩峠 竜神の巻일본어)
- 1961년: 대보살 고개 완결편 (원제: 大菩薩峠 完結篇일본어)
- 1961년: 굿쓰카케 도키지로 (원제: 沓掛時次郎일본어)
- 1961년: 요염한 남자
- 1962년: 시노비노 모노 (원제: 忍びの者일본어)
- 1962년: 신 시황제 (원제: 秦・始皇帝일본어)
- 1962년: 다테시 단페이 (원제: 殺陣師段平일본어)
- 1962년: 에도에 백칠십 리 (원제: 江戸へ百七十里일본어)
- 1962년: 키루 (원제: 斬る일본어)
- 1962년: 나카야마 시치리 (원제: 中山七里일본어)
- 1962년: 파계 (원제: 破戒일본어)
- 1962년: 온나케이즈 (원제: 女系図일본어)
- 1963년–1969년: 네무리 쿄시로 시리즈 (총 12편)
- 1963년: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원제: 眠狂四郎殺法帖일본어)
- 1964년: 네무리 쿄시로 2: 승부 (원제: 眠狂四郎勝負일본어)
- 1964년: 네무리 쿄시로 원월 살법 (원제: 眠狂四郎円月斬り일본어)
- 1964년: 네무리 쿄시로 여요검 (원제: 眠狂四郎女妖剣일본어)
- 1965년: 네무리 쿄시로 염정검 (원제: 眠狂四郎炎情剣일본어)
- 1965년: 네무리 쿄시로 마성검 (원제: 眠狂四郎魔性剣일본어)
- 1966년: 네무리 쿄시로 다정검 (원제: 眠狂四郎多情剣일본어)
- 1966년: 네무리 쿄시로 무뢰검 (원제: 眠狂四郎無頼剣일본어)
- 1967년: 네무리 쿄시로 무뢰공 마성의 피부 (원제: 眠狂四郎無頼控 魔性の肌일본어)
- 1968년: 네무리 쿄시로 여지옥 (원제: 眠狂四郎女地獄일본어)
- 1968년: 네무리 쿄시로 인피 거미 (원제: 眠狂四郎人肌蜘蛛일본어)
- 1969년: 네무리 쿄시로 악녀 사냥 (원제: 眠狂四郎悪女狩り일본어)
- 1963년: 요소 (원제: 妖僧일본어)
- 1963년: 신 시노비노 모노 (원제: 新・忍びの者일본어)
- 1963년: 조쿠 시노비노 모노 (원제: 続・忍びの者일본어)
- 1963년: 텐야와냐 지로초 도추 (원제: てんやわんや次郎長道中일본어)
- 1963년: 테우치 (원제: 手討일본어)
- 1963년: 제3의 카게무샤 (원제: 第三の影武者일본어)
- 1963년: 어느 배우의 복수 (원제: 雪之丞変化일본어)
- 1964년: 시노비노 모노 키리가쿠레 사이조 (원제: 忍びの者 霧隠才蔵일본어)
- 1964년: 시노비노 모노 조쿠 키리가쿠레 사이조 (원제: 忍びの者 続・霧隠才蔵일본어)
- 1964년: 검 (원제: 剣일본어)
- 1965년: 검귀 (원제: 剣鬼일본어)
- 1966년: 나카노 스파이 학교 (원제: 陸軍中野学校일본어)
- 1966년: 대살진 오로치 (원제: 大殺陣 雄呂血일본어)
- 1967년: 어떤 살인자 (원제: ある殺し屋일본어)
- 1967년: 하나오카 세이슈의 아내 (원제: 華岡青洲の妻일본어)
- 1968년: 고독한 늑대 (원제: ひとり狼일본어)
6.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 | 시상식 | 수상 부문 | 수상작 |
---|---|---|---|
1959년 | 키네마 준보 | 남우주연상 | 염상 |
블루 리본상 | 남우주연상 | 염상, 벤텐 코조 | |
NHK 영화 | 최우수 남우주연상 | ||
1959년 | 시네마 누보 | 최우수 남우상 | 염상 |
1964년 | 교토 시민 영화제 | 남우주연상 | 검 |
1967년 | NHK 영화 | 최우수 남우주연상 | 하나오카 세이슈의 아내 |
키네마 준보 | 남우주연상 | ||
1968년 | 교토 시민 영화제 | 남우주연상 | 하나오카 세이슈의 아내 |
1969년 | 교토 시민 영화제 | 마키노 쇼조상 |
참조
[1]
문서
[2]
서적
雷蔵, 雷蔵を語る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1991
[7]
서적
[8]
문서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わたしの雷蔵 (''Watashi no Raizō'')
[12]
서적
[13]
서적
[14]
문서
[15]
서적
1991
[16]
서적
[17]
뉴스
編集手帳
読売新聞 (''Dokubai Shimbun'')
2014-09-06
[18]
웹사이트
『上方歌舞伎・想い出の俳優』「三世市川壽海」
http://www.kabuki-bi[...]
2010-02-16
[19]
웹사이트
『團十郎辞典』「壽海」
http://www.naritaya.[...]
2010-02-16
[20]
문서
[21]
웹사이트
『歌舞伎ファン』「右之助君, 5月22日のNHK教育TVに出演」
http://si-com.at.web[...]
2010-02-16
[22]
서적
[23]
문서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문서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Hosaka 2001
[37]
서적
Tayama 1988
[38]
서적
Muro'oka 1993
[39]
서적
Muro'oka 1993
[40]
서적
Satō 2006
[41]
서적
Tayama 1988
[42]
서적
Tayama 1988
[43]
서적
Muro'oka 1993
[44]
서적
Muro'oka 1993
[45]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46]
서적
Muro'oka 1993
[47]
서적
Muro'oka 1993
[48]
서적
Ichikawa 1995
[49]
서적
Muro'oka 1993
[50]
서적
Muro'oka 1993
[51]
서적
Muro'oka 1993
[52]
서적
Muro'oka 1993
[53]
서적
Tayama 1988
[54]
서적
Tayama 1988
[55]
서적
Ichikawa 1995
[56]
서적
Muro'oka 1993
[57]
서적
Muro'oka 1993
[58]
서적
Tayama 1988
[59]
서적
Hosaka 2001
[60]
서적
わたしの雷蔵 (''Watashi no Raizō'')
[61]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62]
서적
Hosaka 2001
[63]
서적
Tayama 1988
[64]
간행물
Ōta 2009
[65]
서적
Tayama 1988
[66]
서적
Tayama 1988
[67]
서적
Muramatsu 2006
[68]
간행물
太田2009
[69]
서적
Muramatsu 2006
[70]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71]
서적
太田2009
"'Bungeishunjū'" May 2009 special issue
[72]
서적
Tayama 1988
[73]
서적
Muro'oka 1993
[74]
서적
わたしの雷蔵 (Watashi no Raizō)
[75]
서적
Hosaka 2001
[76]
웹사이트
http://www.e-kyoto.n[...]
e京都ねっと
2010-02-16
[77]
웹사이트
http://www.kadokawa-[...]
角川映画
2010-02-16
[78]
웹사이트
http://www.kadokawa-[...]
角川映画
2011-08-01
[79]
웹사이트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2016-09-23
[80]
웹사이트
http://ameblo.jp/ebi[...]
2014-09-08
[81]
서적
太田2009
"'Bungeishunjū'" May 2009 special issue
[82]
서적
太田2009
"'Bungeishunjū'" May 2009 special issue
[83]
서적
Hosaka 2001
[84]
서적
太田2009
"'Bungeishunjū'" May 2009 special issue
[85]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86]
서적
Hosaka 2001
[87]
서적
Satō 2006
[88]
서적
Kawamoto 2005
[89]
서적
Muro'oka 1993
[90]
서적
Muro'oka 1993
[91]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92]
서적
Hosaka 2001
[93]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94]
서적
Hosaka 2001
[95]
서적
Tayama 1988
[96]
서적
Muramatsu 2005
[97]
서적
Muro'oka 1993
[98]
서적
Muramatsu 2006
[99]
서적
Muramatsu 2006
[100]
서적
Muro'oka 1993
[101]
서적
Muramatsu 2006
[102]
서적
Muro'oka 1993
[103]
서적
Hosaka 2001
[104]
서적
市川1995
[105]
서적
Muramatsu 2005
[106]
서적
Muramatsu 2005
[107]
서적
Tayama 1988
[108]
서적
Muro'oka 1993
[109]
서적
ノーベル書房 (''Nōberu Shobo'') (Complete) 1991
[110]
서적
Muramatsu 2006
[111]
서적
Muro'oka 1993
[112]
서적
Muramatsu 2006
[113]
서적
Muro'oka 1993
[114]
서적
Muramatsu 2006
[115]
서적
Muramatsu 2005
[116]
서적
Muro'oka 1993
[117]
서적
Muro'oka 1993
[118]
서적
Muramatsu 2006
[119]
서적
Muro'oka 1993
[120]
서적
Hosaka 2001
[121]
서적
Muro'oka 1993
[122]
웹사이트
市川雷蔵
http://www.jmdb.ne.j[...]
2009-01-22
[123]
간행물
1955年増刊「日本映画大鑑・映画人篇」
[124]
서적
市川1995
[125]
서적
田山1988
[126]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
[127]
서적
田山1988
[128]
서적
市川1995
[129]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
[130]
서적
市川1995
[131]
서적
市川1995
[132]
서적
田山1988
[133]
서적
保阪2001
[134]
서적
石川(編)2008
[135]
서적
田山1988
[136]
서적
田山1988
[137]
문서
武智歌舞伎の第1回公演は1949年12月に行われている。
[138]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
[139]
서적
田山1988
[140]
뉴스
「永六輔」さんは少年の頃、歌舞伎の三代目市川寿海のもとに養子に入る話を持ち込まれたという。歌舞伎役者になるのがいやで断ったと、ある対談で語っている
読売新聞
2014-09-06
[141]
웹사이트
『上方歌舞伎・想い出の俳優』「三世市川壽海」
http://www.kabuki-bi[...]
2010-02-16
[142]
웹사이트
『團十郎辞典』「壽海」
http://www.naritaya.[...]
成田屋
2010-02-16
[143]
문서
「壽海老」は本来、市川宗家の御曹司・[[市川海老蔵]]が[[替紋]]の代替に使う[[役者文様]]である。
[144]
웹사이트
『歌舞伎ファン』「右之助君、5月22日のNHK教育TVに出演」
http://si-com.at.web[...]
2010-02-16
[145]
서적
田山1988、22-23頁
[146]
문서
先代の[[市川新蔵 (5代目)|五代目市川新蔵]]は[[市川團十郎 (9代目)|九代目市川團十郎]]に見込まれてその養子となり、ゆくゆくは「十代目團十郎」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たが病を得て早世したという経緯があった。
[147]
서적
田山1988、27頁
[148]
서적
田山1988、27-28頁
[149]
서적
市川1995、297-298頁
[150]
서적
室岡1993、208頁
[151]
서적
村松2006、234-236頁
[152]
서적
田山1988、74頁
[153]
서적
田山1988、28頁
[154]
서적
市川1995、20-21頁
[155]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196頁
[156]
서적
田山1988、28-30頁
[157]
서적
田山1988、76-77頁
[158]
서적
保阪2001、324頁
[159]
서적
田山1988、34-35頁
[160]
서적
室岡1993、102頁
[161]
서적
室岡1993、210頁
[162]
서적
佐藤2006、298頁
[163]
서적
田山1988、34頁
[164]
서적
室岡1993、254・270頁
[165]
서적
室岡1993、270頁
[166]
서적
室岡1993、254頁
[167]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282-283頁
[168]
서적
田山1988、47頁
[169]
서적
室岡1993、11-12頁
[170]
서적
室岡1993、12・271頁
[171]
서적
市川1995、32頁
[172]
서적
室岡1993、23頁
[173]
서적
室岡1993、17-18頁
[174]
서적
室岡1993、107頁
[175]
서적
室岡1993、206-208頁
[176]
문서
田山1988、57頁
[177]
문서
田山1988、54-57頁
[178]
문서
市川1995、218-220頁
[179]
문서
室岡1993、113-116頁
[180]
문서
室岡1993、256頁
[181]
문서
田山1988、72-73頁
[182]
문서
保阪2001、328-329頁
[183]
문서
石川(編)2008、38-39頁
[184]
문서
ノーベル書房(編)1991、325-333頁
[185]
문서
保阪2001、319頁
[186]
문서
田山1988、86頁
[187]
문서
太田2009(『文藝春秋』2009年5月特別号、361頁。)
[188]
문서
田山1988、58頁
[189]
문서
田山1988、79頁
[190]
문서
村松2006、243頁
[191]
문서
太田2009(『文藝春秋』2009年5月特別号、362頁。)
[192]
문서
村松2006、260頁
[193]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 第5版
三省堂
[194]
문서
ノーベル書房(編)1991、257頁
[195]
문서
太田2009(『文藝春秋』2009年5月特別号、362-363頁。)
[196]
문서
田山1988、6-7頁
[197]
문서
室岡1993、122頁
[198]
문서
石川(編)2008、前書きおよび奥付
[199]
문서
保阪2001、311頁
[200]
웹사이트
京都映画スポット
http://www.e-kyoto.n[...]
e京都ねっと
2010-02-16
[201]
웹사이트
近年の市川雷蔵映画祭についてはRCSのホームページ
http://www.rcsmovie.[...]
2009-01-01
[202]
웹사이트
大雷蔵祭
http://www.kadokawa-[...]
角川映画
2010-02-16
[203]
웹사이트
大雷蔵祭 FINAL
http://www.kadokawa-[...]
角川映画
2011-08-01
[204]
웹사이트
オールタイム・ベスト10 日本映画男優・女優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2016-09-23
[205]
문서
太田2009(『文藝春秋』2009年5月特別号、357頁。)
[206]
문서
太田2009(『文藝春秋』2009年5月特別号、358頁。)
[207]
문서
保阪2001、332頁
[208]
문서
太田2009(『文藝春秋』2009年5月特別号、354頁。)
[209]
문서
ノーベル書房(編)1991、245頁
[210]
문서
保阪2001、325頁
[211]
서적
佐藤2006
[212]
서적
川本2005
[213]
서적
室岡1993
[214]
서적
男優2014
[215]
서적
室岡1993
[216]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
[217]
서적
保阪2001
[218]
서적
炎上DVD2004
[219]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
[220]
서적
保阪2001
[221]
서적
村松2005
[222]
서적
室岡1993
[223]
서적
村松2006
[224]
서적
村松2006
[225]
서적
室岡1993
[226]
서적
村松2006
[227]
서적
室岡1993
[228]
서적
保阪2001
[229]
서적
市川1995
[230]
서적
村松2005
[231]
서적
村松2005
[232]
서적
田山1988
[233]
서적
室岡1993
[234]
서적
ノーベル書房(編)1991
[235]
서적
村松2006
[236]
서적
室岡1993
[237]
서적
村松2006
[238]
서적
室岡1993
[239]
서적
村松2006
[240]
서적
村松2005
[241]
서적
室岡1993
[242]
서적
村松2006
[243]
서적
室岡1993
[244]
서적
保阪2001
[245]
서적
室岡1993
[246]
문서
『[[#市川1995|雷蔵、雷蔵を語る]]』および『[[#室岡1993|市川雷蔵とその時代]]』巻末の資料をもとに、上映年別に記載(『おてもやん』のみ[https://moviewalker.jp/mv20090/ Movie Walker]を参照)。
[247]
웹사이트
映画を愛し、映画に愛された伝説の俳優・市川雷蔵の代表作を一挙上映 最新ポスタービジュアル&予告篇&上映作品解禁
https://movie.joruda[...]
ジョルダン
202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